홈 / 공지사항 / 복지뉴스

 

제       목

 2010년까지 장애인대책에 4조8천억원 투입

등       록

 2006/09/06

조  회  수

 6025

내       용

2010년까지 장애인대책에 4조8천억원 투입
내년부터 장애인 수당 대폭 확충

장애학생 전 교육과정 의무화..저상버스 대폭 확대

정부, 2010년까지 장애인대책에 4조8천억원 투입

(서울=연합뉴스) 송수경 기자 = 내년부터 장애인 수당이 대폭 확대되며 2010년부터 장
애학생의 유치.초.중.고교 전과정에 걸쳐 의무교육이 실시된다.

또 2013년까지 전국 시내버스의 30∼50%가 저상버스로 교체되고 장애인 자막방송이 확
대편성되며,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작업이 본격 추진된다.

정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`선진복지국가 구현을 위한 장애인지원 종합대
책'을 마련해 발표했다.

정부는 2010년까지 총4조8천억원의 국고를 장애인 복지부문에 투입키로 했으며, 이
가운데 1조5천억원은 이번 종합대책 수립에 따른 증액분이다.
종합대책에 따르면 그동안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만 지급되던 장애인 수당이 내년
부터 차상위계층으로까지 확대되며, 수당 금액도 중증 장애인의 경우 현재 월 7만원
에서 13만원(차상위계층 12만원)으로 인상된다. 4∼6급 경증 장애인에 대해선 현재
월 2만원에서 월 3만원으로 지급액이 상향조정된다.

또 18세 미만 장애아동 부양수당도 큰 폭으로 확대돼 중증 장애아동의 경우 기초생
활수급권자의 경우 월 20만원, 차상위계층은 월 15만원, 경증 아동에 대해선 일괄
적으로 올 월 10만원씩을 지원키로 했다. 그동안은 기초생활수급권자 중 1급 아동
에 대해서만 월 7만원씩 지급했었다.

대신 장애인 이동권 지원을 위해 시행돼 온 장애인 차량에 대한 LPG연료 지원제도
는 단계적으로 축소.폐지해 2010년 전면 폐지할 방침이어서 장애인 단체들의 반발
이 예상된다.

정부는 또한 현재 무상교육 방식으로 이뤄지는 장애인의 유치원과 고교 교육을 의
무교육으로 전환, 2010년부터 장애인의 유치.초.중.고교 전과정을 의무교육화한다
.

이와 관련, 정부는 2009년까지 민간자본(BTL) 유치를 통해 특수학교 14개를 신설
하고 특수학급 950개를 증설할 방침이다.

이와 함께 2008년까지 한국형 저상버스 표준모델을 개발, 2013년까지 전국 시내
버스의 30∼50%를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쉽게 승하차할 수 있는 저상버스로
전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. 정부는 이에 앞서 2008년까지 모든 지하철 역사에
서 엘리베이터를 1대 이상 설치토록 할 방침이다.

혼자서는 일상 생활이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활동보조인을 파견하
는 활동보조서비스나 실비요양 시설 입소비의 절반 수준인 월27만원을 지원
하는 서비스 중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 복지제도도 내년부
터 도입된다.

일단 내년 한해간 저소득층 장애인 1만3천365명과 차상위 중증장애인 392명
이 각각 활동보조인 제도와 입소비 지원 제도의 혜택을 받게 될 예정이다.


정부는 또한 국립재활원 재활병상을 현 200개에서 300개로 확충하고 권역별
재활병원을 내년까지 3개소, 2009년까지 6개소 늘리는 한편 거점 보건소도
현 45개소에서 100개소로 확대키로 했다. 장애인 관련 진료에 대해 가산수
가제를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.

정부는 현재 56% 수준인 청각장애인용 TV 자막방송을 연내에 70%로 확대하
고 내년부터 뉴스, 드라마의 자막방송 비율을 90%로 끌어올리기로 했다.

아울러 정부는 국가인권위의 권고에 따라 정부와 장애계가 공동 참여하는
장애인차별금지법 민관공동기획단을 지난달 구성했으며, 기획단을 통해 장
애인 차별금지법 제정작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. 성폭력 피해자의 보호시
설 입소기간을 현행 6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는 등 여성장애인 지원책도
강화된다.

정부 관계자는 "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장애인 지
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기본적 삶의 질 보장, 사회참여 확대.촉진, 정
책추진 시스템 혁신 등 3개 분야에 걸친 각 부처의 대책을 집대성한 차
원"이라고 말했다.

hanksong@yna.co.kr
첨부파일

  

미신고 복지시설 양성화 정책, 금년 ...
“종로구청·경찰, 도대체 왜 이러십니...
 



Copyright(c) 안동시사회복지사협회. All rights reserved.   
경북 안동시 대안로 117, 3층
TEL:054-853-9740   /  FAX:054-853-9741    메일: adasw3755@hanmail.net